The Christian Review
그에게 ‘You will be my witness'는명령이아니라, 예 언이었고 초대장이었다. 그는 이 말씀의 의미를 사복음 서의 예수님의 지상사역이 계시록까지의 천상사역으로 연결하는 길라잡이로 정리했다. 그러나 소명 확인과 순 종은 다른 차원이었다. 그는 외교관이 되어 전문 직업인으로 주님을 섬기고 싶었다. 3개월 동안 앓고 고민하다가 결국 항복하게 되 었다. 대학교 2학년 때이다. 그는 힌디어를 전공으로, 영어를 부전공으로 선택했 다. 자연스럽게인도선교사의비전을가지게되었다. 성 경 번역에 필요한 원문 이해는 합동신학대학원에서 길 렀다. 그곳에서 조직신학 성경신학 등을 연구했지만 최 종 승부처는 성경 해석학이었다. 헬라어에 입각한 신약 해석에 중심을 두되 히브리어에 기반을 둔 구약해석에 도 소홀하지 않았다. 파푸아뉴기니사역 싱가포르에서 10개월간의 언어학 과정을 거의 마쳐가 는 시점에도 인도의 선교문은 열리지 않았다. 그 당시 인도는 성경 번역 선교사가 아니라 현지인에게 성경 번 역을 가르치는 훈련자가 필요했다. 그때 마침 파푸아뉴기니에서 문이 열렸고 그 문으로 들어갔다. 파푸아뉴기니는 왠지 낯설지 않았다. 설명할 수 없는 친근감이 있었고 현주민들의 얼굴에 소시적에 만났던 사람들의 좋은 인상이 중첩되었다. 1988년부터 정 선교사 가족은 공식적으로 성경 번역 사역을 개시했다. 쿠오트 원주민들과 함께 뒹굴고 먹고 자고지내게 되자, 2년만에원주민들은정 선교사와가 족을 입양하였다. 그들의 입양이란 외부인을 전통 부족 공동체의 일원으로 공인하는 것이다. 쿠오트부족은모계사회이다. 12개씨족중에서정선 교사를 입양한 부족과 조경자 선교사와 아이들을 입양 한 부족이 다른데, 자녀와 족보와 부동산은 모두 아내 씨족의 소유이다. 그런 사회구조와 개개인의 역할에 정 선교사와가족들은자연스럽게녹아들었고, “저희가 역 사상 가장 행복하게 사역했던 선교사 가족들 중 하나” 로 고백한다. 정 선교사는 도착 직후부터 영어나 공용어 사용을 금하고 쿠오트어 학습에 전념했다. 언 어 조력자로부터 배운 단어와 표현법을 철저 히 익히고 모르는 것들은 그냥 외웠다. 2년차부터는 그들과 일상의 기본 대화가 가 능해졌다. 그들은 문자가 없었기에 5년차에는 문자를 만들어 찬송가를 비롯하여 그들 손으 로 쓴 이야기를 1백 종류의 소책자로 만들어 배포했다. 쿠오트어는 동사 변화가 심하다. 명사는 여 성, 남성, 중성이있는데동사는주어와목적어 의 성, 수, 격에 일치해야 했다. 짧은 문장이라 해도 문맥과화맥을 살리기 위해 애썼다. 리뷰초대석위클리프(Wycliffe KDM) 정철화선교사 크리스찬리뷰 31 46 Christian Review ▲쿠오트 신약성 경 봉헌예배에 참 석한 원주민들. ▲정철화선교사가 15년간의땀과눈물로문자를만들어번역한쿠오트신 약성경. 신약성경봉헌후 15년만인 2017년, 그들은스스로성경을녹음하 여두번째봉헌식을올렸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