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ristian Review
“마음이란우리의조상들이환경에적응해가면서부딪 힌수많은생존문제들을해결하기위해선택된프로그 램이다” -StevenPinker - 인간에게일은무엇인가? 많은사람이하는다양한일과노동의수고스러움덕분 에우리사회가지탱되고있다는자각과함께노동의중 요성을 오늘도 나는 다시 한번 깨닫는다. 일(노동)은 어 떻게바라보느냐에따라경제적, 사회적, 종교적의미등 다양한노동관이존재할수있다. ‘악의평범성’으로잘알려진독일의정치철학자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 - 1975)는 <인간의 조건> 에서 “인간은 노동, 일 그리고 행위 (action)라는 실존적 조건을 통해 ‘개인사적 영역’을 넘어 서로 함께 살아가 는 ‘공적영역’의존재가된다”라고주장한다. 노동에대한종교적관점 대부분현대주요종교들은인간이의식주를해결하고 생계를유지하기위한경제 적 의미뿐만 아니라 정신 과 육체의 유기적이고도 역동적인관계라는점에서 노동을중시한다. 불교 용어에는 노동 (labour)이라는 말과 완전 히 일치하는 단어는 없다 고 한다. 그래서 활동, 행 위, 일, 작업, 가업이라는의 미의산스크리트어를번역 한 ‘업(業)’이라는 단어가 일 (노동)의 뜻과 가장 유 사하다고알려지고있다. 불교에서 출가한 사람 (승려)의궁극적목표는열 반의 성취이기 때문에, 노 동은그자체가곧수행이 며종교적목표성취를위한수단으로써존재한다. 하지만 승려가아닌일반인들에게는빈곤에서벗어나 기 위해 또는 자신과 타인을 위해 일할 것을 권장하는 이중적사고구조를갖는다. 그렇다면, 기독교인에게 일 (노동)이란어떤 의미일까? 막스 베버는 근세 유럽의 자본주의 경제 발전에 프로테 스탄티즘의 금욕적 노동관 및 직업윤리가 큰 영향을 미 쳤다고설명한다. 직업또는일이라는단어로영어는 ‘vocation’, 독일어 로는’beruf’라고하는데모두사명, 소명을뜻하기도하 며켈빈주의성경적해석에서는일 (노동)을통해하나님 께영광을돌려야함을강조하고있다. 성경의 데살로니가후서 3장 10절에서는 “일하기 싫거 든 먹지도 말라”라고 말하고 있는데, 불교에서도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 (一日不作一日不食)’ 라는일맥상통하는내용이있어아이러니하게느껴진다. 오늘날현대인들이믿는종교는매우다양하며, 열렬하 게 자신의 종교를 신봉하는사람일수록자신이 믿고 있 는특정종교가참된종교이며진리라고주장한다. 문화 인류학적으로 종교의 기원과 발전에는 유사한 점이 많 크리스찬리뷰 43 54 Christian Review 인간탐구⃞ 인간이란무엇인가? 양지연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