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24 qldkoreanlife.com.au FRI. 25. NOVEMBER. 1000 ⓒ본광고이미지는코리안라이프가제작하였습니다. 자동차에탑재된다양한편의사양은운전자의편의와안전한주행을도와줍니다.다양한 기능들을잘활용하기위해서는사용법숙지가필요합니다.신차구입시차량관리부터 기능사용방법까지확인할수있는차량사용설명서가있지만,정독하기에는너무양이 많습니다.그래서대부분잘모르지만,알아두면편리한기능몇가지를소개드립니다. 자동차숨겨진기능, “이기능알고계셨나요?” by현대자동차/브런치 브레이크안밟고 시동걸기 최근출시하는대부분의차량 에는 스마트키와 시동 버튼 이 적용됩니다. 버튼 타입 시 동은 브레이크 조작 없이 버 튼만누를경우ACC-ON-OFF 상태만 변경될 뿐, 시동이 걸 리지 않습니다.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밟은상태에서시 동이 걸리도록 해 놓은 것입 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브 레이크 조작 없이 시동을 걸 수도 있습니다. 시동 버튼을 누른 상태로 몇 초간 기다리 면 바로 시동이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 은 동승석이나 2열에서 시동 을 걸어야 할 경우 편리하게 활용할수있습니다. 내비게이션화면끄기 내비게이션은 자동차에서 없 어서는 안 될 편의사양 중 하 나입니다. 최근에는 10인치 이상의대형화면에정보뿐만 아니라 날씨, 미디어 정보 등 다양한정보까지확인할수있 습니다.하지만어두운밤길을 운전할때내비게이션화면불 빛이거슬리는경우도발생합 니다. 내비게이션화면을끄는 방법은볼륨버튼을길게누르 면 됩니다. 화면이 꺼지면 터 치도 작동하지 않고, 다시 켜 기위해서는볼륨버튼을눌러 주면됩니다. 통풍/열선시트 한번에끄기 통풍시트와 열선시트는 무더 운 여름과 추운 겨울철 최고 의 옵션으로 손꼽힙니다. 버 튼을누르는것만으로누구나 쉽게작동할수있는데, 이버 튼에도숨겨진기능이있습니 다. 보통 통풍/열선 시트는 3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 어있습니다. 3단계에서전원 을 끄려면 버튼을3번, 2단계 에서전원을끄려면버튼을2 번 눌러야 합니다. 만약 운전 중 몇 단계인지 눈으로 확인 하지 않고, 통풍 시트나 열선 시트를 끄려면 버튼을 길게 누르면 작동단계에상관없이 한번에끌수있습니다. 주간주행등끄기 한국의 경우 2015년 하반기 부터 주간주행등 장착이 의 무화됐습니다.이후출시하는 모든 신차는 시동이 걸리면 주간주행등이 켜지도록 설계 되어있습니다.주간주행등은 사고 예방 효과가 있지만, 자 동차 극장에서 영화를 볼 때 와 같은 상황에서 시동을 걸 어 놓는다면, 주간주행등이 점등되어불편을초래합니다. 하지만 시동을 건 상태에서 주간주행등을 끌 수 있습니 다. 주간주행등을 끄기 위해 서는기어를P에놓고주차브 레이크를작동시키면됩니다. 전동식트렁크높이설정 전동식트렁크는버튼하나만 으로 트렁크를 여닫을 수 있 어 편의성이 뛰어납니다. 특 히 해치도어가 크고 무거운 SUV차량에서진가를발휘합 니다. 또한 전동식 트렁크는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 높 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트 렁크 도어를 여는 중 본인이 원하는높이에서트렁크를잡 아 작동을 멈춰줍니다. 이후 트렁크 닫힘 버튼을 길게 누 르면 알림음과 함께 해당 높 이로 설정이 저장됩니다. 이 후에는 설정된 높이 까지만 도어가열립니다. 보닛에걸리는 와이퍼교체방법 최근 출시되는 차량 일부는 와이퍼 교체 또는 세차를 위 해 와이퍼를 들어 올리려고 하면 보닛에 걸리는 차량이 있습니다. 공기역학 성능을 개선하고디자인완성도를높 이기 위해 와이퍼 암이 보닛 안쪽으로이동하는모델이늘 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 약 와이퍼를 들어 올리려면 시동을 끄고 와이퍼 조작 레 버를 위쪽 방향으로 길게 밀 고 있으면 와이퍼가 위로 올 라간 상태로 고정됩니다. 이 상태에서와이퍼를손으로들 어 올리면 쉽게 와이퍼를 교 체할수있습니다. 지금까지대부분잘모르지만, 알아두면좋은기능들에대해 알아봤습니다. 혹시 여러분만 알고 있는 자동차 사용 관련 꿀팁이 있으신 가요? 댓글을 통해많이공유해주세요. 버튼시동이적용된그랜저실내 볼륨버튼을길게눌러서끌수있는내비게이션화면 길게눌러서한번에끌수있는통풍/열선시트버튼 높이조절이가능한 전동식트렁크 와이퍼레버를상단으로일정시간조작하고있으면 상단고정이가능한와이퍼 시동과동시에점등되는주간주행등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