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12 visionweekly.com.au FRI, 4th SEP 890 목표와계획이정해져있으므 로, 경로에서 벗어난 길은 ‘다 른’ 길이 아니라 ‘잘못된’ 길이 고, ‘틀린’길이다.그래서어떤 문제 앞에서든 ‘이 문제를 어 떻게해결해야차질없이목표 에 도달할 수 있을까’를 생각 한다.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누군가가 상황에 대해 설명 하면 이 사람들은 이렇게 묻 는다. “그럼 이제 어떻게 하면 되 죠?” “그래서,어떻게할건가요?” 이처럼판단을주로하려고하 는사람은 ‘판단형’이다. 이사 람들은 인식기능(감각/직관) 보다 판단기능(사고/감정)을 우선적으로쓴다. 반면에, 흐름을 타고 가는 사 람은지금벌어지고있는일이 무슨일인지를알아차리고,이 모든게어찌된일인지를알았 으면그걸로된거다. ‘알게된그것’을 ‘어떻게어떻 게 해서’ 기어코 수행해야 할, 정해진 계획이 없기 때문이 다. 지금 다가오는 저 파도가 탈 만한 파도면 올라타고, 그 렇지않으면보내고다음을기 다린다. 가장 적당한 바람이 불 때 돛 을 올리고, 열리는 문을 열고 나간다. 이렇게 하려면 ‘무엇이 어디 서 와서 어디로 흘러가는지’ ‘어느 문이 언제 열릴지’를 알 아야 한다. 그래서 이 사람들 은 어떤 문제든 일단 ‘이게 무 슨일인지’ ‘어떻게된일인지’ 를알고자한다. 이처럼인식을주로하려는사 람은 ‘인식형’이다. 이 사람들 은 판단기능(사고/감정)보다 인식기능(감각/직관)을 우선 적으로쓴다. 목표를고정값으로놓고그목 표에맞게과정을통제하는방 식에서는짜임새있는계획이 중요하다.그리고계획대로실 행될 수 있으려면 시간과 공 간,모든요소들이통제되어야 한다.그래서판단형은일상생 활에서시간과공간이통제되 고 있을 때 편안함을 느끼고, 시간이나 공간이 흐트러지면 불편해한다. 반면에정해진목표가없거나, 상황에따라목표가변경될수 있으면한결여유가있다. 상황이여의치않으면다른길 로갈수도있고,가는길에그 냥 지나칠 수 없는 중요한 무 언가가있으면거기에머물러 도된다. 언제 어디서나 ‘지금 여기’에 집중할수가있다. 목표에맞게꽉짜여진계획은 ‘지금 여기’에 집중할 수 없게 만든다.그래서인식형은집중 할만하면중단시켜버리곤하 는 ‘정해진 시간표’에 좌절감 을느낀다. 판단형은시간관리와공간의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는 반 면, 인식형은 대개 시간에 대 한 관리가 느슨하고 주변 공 간을질서있게관리하지않는 다. 그러나 시간 관리를 철저 히 하느냐 못 하느냐, 주변 정 리정돈이잘되어있느냐어수 선하냐만 가지고 판단형인지 인식형인지를 판가름하려고 하면잘안된다. 많은 사람들이, 판단형인 것 같기도하고인식형인것같기 도 하고, 어떤 면에서는 판단 형인데또어떤면에서는인식 형인것같다고생각한다. 판단형으로사는게너무지치 고 답답한 것도 사실이고, 그 렇다고해서인식형처럼살아 보면그건또그것대로불안하 고마음이영불편하다. 인식형의 생활방식이 아무렇 지도 않고 즐겁고 편하게 느 껴지지않는걸보면판단형이 맞는것같은데실제로는제대 로판단형처럼살지도못한다. 왜 이런가 하면, 우리는 어려 서부터 학교를 다녔고, 공부 를 잘했든 못했든 어쨌든 학 업을 마쳤고, (남자의 경우는) 군대도 갔다 왔고, (부모가 된 사람들은)아이를낳아서키웠 고, 직장 다니면서 일을 해왔 고,열심히사회생활을해왔기 때문이다. 싫든좋든판단형의생활방식 으로훈련이돼있다. 산업사회이후로는사회의일 원으로제역할을하면서살아 가려면누구나어느정도는판 단형이 되어야만 한다. ‘목표 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고,시간과공간을관리 한다’라는 건 ‘훌륭하다’ ‘유능 하다’는말에다름아니다. 그래서우리는선뜻자신있게 “나는 판단형이야” “나는 인 식형이야”라고 하기가 쉽지 않다. ‘판단형이어야 하는데 나는 그게 잘 안 된다’라고 생 각하기가더쉽다. 직장일에서는누가봐도판단 형으로보이는사람이집안살 림은인식형처럼하는경우도 있고, 부모님 집에서 자랄 때 는판단형이었는데독립해나 와서는인식형처럼사는경우 도 있다. 원래 인식형인 사람 인데 공적인 영역에서만큼은 철저히판단형으로살도록훈 련된 것일 수 있다. 사적인 영 역에서는자기본래의인식형 특성대로사는것이고…아니 면원래판단형이기는하지만 그래도자신을너무과도하게 관리하고있을경우그에대한 보상작용으로, 개인적 공간에 서는정반대의행동을하는것 일수도있다. 또, 인식형에 적합한 직업을 갖고자기일의영역에서는인 식형으로 만족스럽게 살아가 는 사람이 어린 자녀에게 생 활습관을교육시킬때는판단 형중에도그런판단형이없어 보일만큼빡빡하게구는경우 도있다. 대개부모에게서받은대로자 녀에게하게되기때문에그런 것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다른모든영역에서는현재의 자기자신으로살면서도,유독 자녀교육에 있어서만큼은 자 기도 모르게, 어린 시절 자기 부모가자기에게했던대로똑 같은장면을재현하는경향이 있다.) 정리정돈이나 시간 관리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생활습관의 차이만을가지고판단형과인 식형의차이를설명하는것은 마치입고있는옷차림만으로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별하려 는것과같다. 판단형과인식형의차이는특 히 ‘통제’에 관련된 것이기 때 문에어디까지가성향이고어 디서부터가 스스로에게 가하 는강박인지분명하게가려내 기어렵다. 판단형과인식형의차이는단 순히 생활습관에서뿐만 아니 라, 삶을 살아가는 태도와 방 식,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 타 인을이해하고소통하는태도 에서나타난다.이러한태도와 방식의 결과로서 생활습관의 차이가나타나는것이다. 판단형은 J(Judging의 J)로, 인식형은 P(Perceiving의 P) 로표기한다. 문제가생겼을때 판단형과인식형이 묻는첫마디 by해를보다 어떤일을할때목표를정해놓고‘무엇을어떻게해야할지’ 계획을세워서해나가는게잘맞는사람이있는가하면, ‘흐름을타고가는’방식이더잘맞는사람이있다. 목표지점을미리정해놓고가는사람은모든선택의순간에,올바른판단을해야한다. 엉뚱한길로들어서면영판다른데로가게되기때문에잘못된판단을해서는안된다. 까딱잘못하면먼길을돌아서가게되든가,갔던길을 고스란히되돌아와원점에서다시시작해야하는수도있다. 이렇게되지않기위해서는출발점부터목표점까지의 모든경로를미리정해놓고가야한다. 제시간에도착하려면언제어느지점을통과해야하는지 시간계획도미리짜놓고그계획에맞게움직여야한다. ⓒ본광고이미지는비전매거진이제작하였습니다.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