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12 ivisionmagazine.com FRI, 19th FEB 912 수수를재배했고1548년에사 신으로갔던최연이조선에서 는귀한약재인설탕을중국에 서는평민도차에타서마시는 걸보고놀랐다는기록이남아 있었다. 중국에서수입한밀가루와설 탕으로만든호떡은순식간에 조선사람들의혀를사로잡았 다.서울에서공부하던학생들 이고향으로돌아가면서선물 로호떡을사들고갔다는기록 이남아있었는데,날품팔이의 하루품삯이50~60전이고국 밥이 15전, 20 전일 때 5전이 었다고하니그렇게비싼것도 아니었다고한다. 화교를 보는 조선인의 눈은 결코 곱지 않았는데, 임오군 란 때 넘어와 불공정 조약을 바탕으로장사를해서조선의 돈을긁어가는화교가불편할 수밖에없었다.짱개의어원인 장꾸이(掌柜)는 돈통, 돈통을 관리하는 사람, 가게 주인을 뜻하는데, 가게 주인을 화교 에 대한 비하어로 쓴다는 점 에서우리가화교에갖고있는 악감정의뿌리가어디인지알 수있다. 게다가일제강점기일제는일 부러중국인과조선인의사이 를이간질했다.중국에서활동 하는조선독립운동가의입지 를줄이고일본에대한불만을 화교에게돌리기위해일부러 조선인과화교의충돌을일으 켰고조선에서화교를일본인 과 조선인 사이의 2등 국민으 로끼워넣어일종의욕받이처 럼이용하기도했다. 그런 상황에서 호떡집에 불 이 나면, 정말 강 건너 불구경 이 되는 것이다. 안 그래도 기 름을 많이 사용하는 호떡집 은 실제로 화재가 많이 일어 났고,뛰어나온중국인주인이 중국어로외치는소리를들으 며도와주는대신쌤통이라고 생각하는사람도적지않았을 것이다. 그런호떡도일제가패망을치 달으면서 밀가루가 부족하게 되면서1940년을전후로사라 지게 되었다. 물론 당시에 부 족했던 것이 밀가루 만이 아 니었지만. 호떡의 맥이 일본 패망과함께완전히끊겼다가 미국의원조밀가루가들어오 면서다시부활하게되었는데. 우리가지금흔히먹는호떡은 실은화교호떡집의호떡과다 른음식이다. 화교호떡의특징은라드나쇼 트닝을 발라 겹겹이 층을 낸 것인데, 페스츄리를 생각하면 된다. 층을 내지 않은 것은 호 떡이아니라고하는화교도있 을 정도. 이마트가 대만에서 수입한피코크계피호떡을보 면원래호떡이어떤맛이었는 지짐작이가능하다. 지금우리가먹는호떡은원조 밀가루가들어오면서가장손 쉽게 열 수 있는 가게가 호떡 노점이 되면서, 옛날 화교 호 떡의기억을살려만들기시작 한일종의유사품으로최근의 씨앗호떡등의발전을생각하 면중국의영향을받은독자적 인요리라는점에서일본의라 멘과닮은구석이있다. 동남아시아나아메리카대륙 에 진출한 화교들이 쿨리(苦 力)라는 육체 노동자로 시작 한 것과 달리 조선에 처음 진 출한화교는무역이바탕이었 다. 화교들이 대부분 광둥성, 푸젠성 출신인 것과 달리 조 선 화교는 조선과 가까운 산 둥성출신이대부분이었고,지 리적으로가깝기때문에중국 과도많이교류했다는특징이 있었다. 김정구의 노래 '왕서방 연서 (1938)'을 들으면 "비단이 장 사 왕서방'이 등장하는데, 실 제로 중국의 상업 자본이 직 접 투자한 주단 포목점이 중 국의 비단과 삼베, 상해를 통 해들여온영국의면직물를대 량으로수입해서조선의주단 포목 시장을 점령했다. 1930 년에 전국의 화교 포목 상점 이 2116개로 당시 조선의 전 체포목상점중20%, 판매액 은30%였다고한다. 김동인의 소설 감자(1925)에 는 고구마(감자)와 배추를 키 우는 왕서방의 채소밭이 등 장하는데, 조선에 진출해 채 소농사를짓는화교의숫자도 많았다.이렇게재배한채소는 조선인보다는 구매력이 있는 일본인에게더많이팔렸다. 조선의대장간에서만든솥보 다얇아서가볍고저렴한솥을 만들던화교주철공장등자본 과기술을앞세운화교는점점 조선에세력을늘려나갔다.임 오군란이후로일제강점기까 지화교자본은조선을상당히 잠식했다. 화교가 현지에 진출할 때 육 체노동으로 시작해서 중국인 을대상으로하는노점을여는 경우가 많았는데 조선에서는 호떡집이 기본이었다. 밀가루 로 구운 빵 안에 설탕을 넣어 기름에구워내는호떡은무역 을바탕으로하는조선화교만 이가능한일종의반칙이었다. 쌀과밀의농사짓는기후가다 르기때문에쌀이주식인조선 에서는밀가루가귀하기마련 이다.고려도경에고려에서제 사에쓸유밀과를만들밀가루 를송나라에서수입했다는기 록이 있는데, 밀가루로 만든 국수는 누가 결혼이라도 하 지 않는 이상은 먹기 힘든 귀 한음식이었다. 조선은밀가루만귀한것이아 니었다. 더운 곳에서 자라는 사탕수수도 추운 곳에서 자 라는사탕무도없어서설탕도 귀했다. 하지만 중국은 남쪽 인 광둥, 푸젠, 사천에서 사탕 ⓒ본광고이미지는비전매거진이제작하였습니다. 호떡집에불나다 조선의화교이야기 by 까날Feb05. 2021 어수선한분위기를뜻하는"호떡집에불나다."라는말보다 조선의화교를잘설명하는단어도없다. 한국에화교가처음들어온것은임오군란때청나라병사3천명과함께들어온 40여명의청나라상인으로알려져있는데,임오군란의결과로청나라는 1882년에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을맺게된다. 중국상인이인천에서무역을할수있고조선상인도베이징에가서무역을할수있는 조약이지만,조선상인이중국에가서무역을할능력이없었으니, 중국상인들만인천과서울에와서장사를하기위한불평등조약이었다. 19세기말,청나라군대 피코크호떡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