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26 ivisionmagazine.com FRI, 21st MAY 924 49일이주는 의미는 자주흩뿌리는가을비에서왠 지회색빛우울함이드러나는 듯해서훌훌떨쳐버리고싶어 진다.반복되는일상과도시의 한가운데에갇힌듯한답답함 때문에작은변화에도민감해 지는요즘이다. 가끔은머릿속이하얗게비어 버리는백지가되기도하고어 떨때는까맣게어두워지는밤 이 되기도 한다. 단순 무식의 삶이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말을떠올리며그런지혜가내 생활에서필요하다는것을알 아가는중이다. 그래서인지 요즘엔 책읽기보 다영화나한국드라마를보면 서현실적인인생의깊이를많 이생각하게되는듯하다. 한편의드라마가끝나고나면 마치 내 삶의 한 부분이 떨어 져나간듯허전함까지느끼는 이상한현상에빠지기도한다. 드라마를 통해서 대리만족을 얻기도하고때로는분노를터 뜨리기도하며자신의인생드 라마를스스로연출해나가는 지도모르겠다. 몇 년이 훌쩍 지나버린 "49 일" 이라는 제목의 한국드라 마를 다시 한 번 흥미롭게 보 았다. 드라마 내용은 27살의 밝고순진한부잣집처녀가결 혼을앞두고교통사고로죽게 되었다. 하지만 그녀는 아직 죽을운명이아니었기에영혼 이천상에오르지못하고지상 에서49일동안영혼여행을하 게된다. 실제의 몸은 의식불명의 식물 인간으로 산소 호흡기에 의지 한 채 병원에 누워있다. 그리 고 다른 사람의 몸을 빌려서( 빙의현상) 낮에는 본래의 자기 자신으로 행동하며 밤에는 영 혼만이 빠져나와서 방황을 하 게된다. 그런 영혼을 옆에서 도와주고 저승길을 안내하는 스케줄러 (저승사자)가따라다니고있다. 스케줄러는주인공여자에게 "너는아직죽을운명이아닌데 잘못죽은것이다.그래서49일 동안부모와친혈육을빼고다 른3명의순도100%의눈물을 받을수있다면넌다시살아날 수있다."라고말해준다. 작가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는 꽃미남 스케줄러가 신세대 저 승사자로서 실제로 살아있는 사람처럼 행동하게 설정한 부 분이다. 자신이전생에서못이 루었던 사랑을 기억해내고 다 시한번현생에서만나는애틋 한 줄거리를 아기자기하게 엮 어내었다. 힘든49일의시간을 열심히 살면서 세 사람의 눈물 을 받지만 그녀는 5일 후에 다 시 죽게 된다. 자신의 죽음을 스케줄러로부터 미리 알았기 에 남은 가족들에게 따스한 사 랑을남겨주고떠날수있었다. 이 드라마를 반영해 보며 살아 온세월중에만났던수많은사 람들 중에서 진심으로 나를 위 해울어줄세사람의친구가있 을까 하는 어쭙잖은 생각을 하 게 만든다. 지난 날의 삶을 뒤 돌아봤을 때 허구에 찬 사람들 과의 만남은 세 방울의 눈물도 만들기가 힘들다는 것을 깨달 을수있다. 우리 삶의 소중함을 생각하고 진정으로 나를 사랑해줄 사람 들과의 인연을 이어가는 만남 이필요하지않을까. 얽히고설킨 드라마의 내용은 죽음으로 이별하는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을 담고 있어서 나 의여린감성을건드리며꽤많 은눈물을흘리게만들었다. 결국 작가가 시청자에게 말하 고 싶은 것은 "두 사람을 위한 하나의 사랑" 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들었다. 만약에나의영 혼이49일의 여행자가 되는 기 회를받게된다면순도100%의 눈물을흘려줄세명정도의사 람들은 분명히 나타나지 않을 까 하는 믿음 또한 갖고 싶다. 비록재미로보는한편의드라 마였지만 그 속에서 우리의 인 생을 바라보는 눈이 열리게 되 는것같다. 불교에서는 죽음과 삶의 경계 에서 잘못된 지난날의 자신을 되돌아보며 새로운 나를 찾아 보는 시간여행이 49일이라고 전해진다. 이것은 윤회설에서 나온 불교 철학의 핵심중의 하 나라고여겨진다. 그러나 유교사상은 이49일 동 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그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재 를올리면, 죽은부모나조상이 후예들의 공덕에 힘입어 보다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 나게되고, 또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 게복을주게된다고가르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살아있는 동안에 서로 사랑하고 아껴주 면서 마음을 열어주는 자유로 움이 진정한 삶의 길이 아닌가 하는생각을하게된다. 예수님의가르침이나부처님의 가르침이결국에는일맥상통하 는것임을새삼깨달을수있다. “서로사랑하여라.” 단지이한 마디인것을... 죽음과삶의경계에서지난날을되돌아보며새로운나를찾아보는시간여행 by황현숙(칼럼니스트) ⓒ본광고이미지는비전매거진이제작하였습니다.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