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38 ivisionmagazine.com FRI, 9th JUL 931 온라인혐오표현에따른 감정의전염 by유림 혐오발언하면온라인악플이 먼저 떠오를 것이다. 악플로 극단적 선택을 한 연예인들, 스포츠 스타를 매체를 통해 접할 수 있었다. 온라인 상에 서는특정종교,성별,국적,인 종에기반해소수집단에대한 차별적이고혐오와증오를동 반한말과표현들이넘쳐난다. 우리만의문제가아닌것이다. 미국에서는인종차별반대시 위자들에게 대통령이 폭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 하는 메시지를 트위터와 페 이스북에 띄운 적이 있었다. 트위터는경고표시를붙였고 페이스북은그렇게하지않았 는데많이사람들이페이스북 을탈퇴하겠다고하니까광고 주들이페이스북에광고를하 지않겠다고해주가가하루에 8%나 폭락하는 일이 있었다. 결국페이스북은폭력을선동 하거나혐오나증오를조장하 는발언들에대해나름의조치 를취하겠다고밝혔다. 온라인상 혐오, 증오 발언이 발생하는 이유로 '익명성'을 가장 많이 꼽는다. 다른 사람 들이 내가 누군지 모르기 때 문에 반사회적이고 반규범적 인 행동들을 하게 된다는 것 이다. 또 내가 어떤 글을 썼을 때 글을 읽는 사람들이 인격 적인 존재라는 감각이 무뎌 지는, 즉 상대방을 비인격화 (dehumanization)하기때문 이란 지적도 있다. 또 다른 한 편으로는누가누구인지개인 적인특성들이가려지고대신 어떤 집단의 정체성(identity) 만 드러나는 경우, 이를 근거 로 내집단(in-group)과 외집 단(out-group)을 가르고 이 에 따라 내집단에 대한 편애, 반대로 외집단(out-group)에 대한 차별이 극단화돼서 나 타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다고한다. 지금까지는주로혐오표현의 대상이되는개인이나소수집 단들에미치는효과에대한논 의를했는데상대적으로알려 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 다름 아닌, 혐오 발언을 별 생각없 이 공유한다거나 간단하게 ' 좋아요'를 누르게 되면 이전 에 비해 해당 혐오 발언에 대 해 더 강한 신념을 갖게 되고 태도가더극단화된다는것이 다.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셀프 이펙트 (self-effect)라고 하는 데지금까지별로논의가되지 않았다.또온라인의개방성이 라는 특징 때문에 직접 그 커 뮤니케이션 행위에 참여하지 않는 다수의 대중들이 혐오, 증오 발언에 노출이 된다. 커 뮤니케이션효과관점에서이 들이어떤경험을하게되는가 에 대해 몇 가지 연구 사례를 소개하고자한다. 먼저 '감정 전이', 감정의 전염 이라고도 한다. 코미디 프로 그램을 시청할 때 옆에서 보 는 다른 사람이 웃으면 더 소 리내서많이웃는다거나하는 것을말한다. 이와관련, 잘알 려진 연구로 70만 명의 이용 자를대상으로했던페이스북 실험이있다.이용자들은모르 는상태에서연구자들은한집 단은본인의뉴스피드중긍정 적인메시지에더많이노출되 도록 하고 또 다른 집단은 부 정적인 메시지에 더 많이 노 출되게 만들어 놓고 각 집단 의이용자들이어떤글을작성 하는가를살펴본것이다.결론 적으로 재미있는, 즐거운, 기 쁜 이야기들을 더 많이 본 이 용자들은본인도유사한감정 을드러내는글들을더작성했 고반대로슬프고화나고기분 나쁜 글들을 더 많이 본 사람 들은같은톤의감정을보여주 는글들을작성했다.심리학의 '일반 공격 모형(general ag- gression model)' 에 따르면 부정적인정서나감정을경험 하면이는특정상황과자극을 해석하고이해하는데영향을 미치고막상계기가주어졌을 때 좀 더 공격적인 반응을 할 가능성이높아진다고한다.주 로미디어에서의폭력물의영 향을 설명할 때 많이 쓰이는 개념인데,우리가빈번하게혐 오, 증오 발언을 접하게 되면 뇌에서이와관련된인지적요 소들이 만성적으로 활성화되 고이는공격성으로이어질수 있다는점에서위험하다. 다음으로생각해볼수있는게 '둔감화(desensitization)'이 다. 요즘 많이 쓰이는 단어 중 에 '성인지 감수성'이라는 말 이있는데이때감수성은어떤 문제가 있을 때 이를 잘 인지 하고예민하고적절하게반응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둔 감화는이와반대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특정한 자 극물에자주노출이되면이를 당연하게여기게되고어지간 한 자극에는 더 이상 눈도 깜 짝하지 않게 되는데, 바로 그 런 상태를 말한다. 몇 가지 사 례를소개한다. 온라인상에서정말쉽게발견 할 수 있는 여성 혐오 발언들 을 몇 가지 제시한 뒤 각각의 발언이얼마나여성에대한부 정적인시각을드러내고있는 가물었을때똑같은혐오발언 을읽었는데도남성과여성사 이에현저한차이가있다는걸 확인할 수 있다. 혐오발언의 종류와관계없이일관되게,남 성들은여성들에비해해당발 언이딱히부정적인여성관을 보여주지않는다고답변한다. 물론여성들은본인들이혐오 대상이기때문에좀더민감하 게반응한다고할수도있겠지 만남자들이남초커뮤니티등 에서 여성들보다는 상대적으 로 여성 혐오 발언들에 접할 기회가 많다 보니 이를 문제 넷플릭스<인터넷으로마약을파는법>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