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39 광고문의 0422 258 092, 0432 008 985 visionweekly01@gmail.com 로 인식조차 못하는 '둔감화' 가발생한게아닌가라는해석 을해볼수있겠다. 다음으로생각해볼수있는것 은온라인상접하게되는다른 일반인들의발언들,뉴스댓글 이나소셜미디어에올라오는 다양한포스팅혹은댓글들이 우리머릿속현실인식에영향 을준다는것이다. 잘 알려진 월터 리프먼의 '퍼 블릭 오피니언 (Public Opin- ion, 여론)이라는 고전이 있 다.여기에보면"더월드아웃 사이드(TheWorldoutside)," 즉 우리 머릿속 밖에 있는 세 계,객관적인실재로서의세계 가있고"픽쳐스인아워헤드 (pictures in our head)" 우리 머릿속에존재하는현실에대 한 그림이 있는데 이 둘을 연 결시켜주는역할을언론이한 다는 것이다. 여기서 언론은 신문이나방송같은전통적인 레거시(legacy) 미디어들이지 만오늘날우리가온라인에서 접하는다수의이름모를사람 들이올리는글들도이전언론 들이했던것과비슷한방식으 로 우리의 현실 인식 혹은 현 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다는것이다. '드루킹' 사건. 매크로라고 하 는자동입력프로그램을활용 해서무수한댓글을올려여론 을조작하려했다는판단을법 원에서내렸다.댓글을조작함 으로써여론을조작하고사람 들의현실에대한이해를바꿔 놓았다고판단한것이다.그런 데 정말 그럴까. 한 조건에서 는기사만보여주고다른조건 에서는해당기사에반대되는 내용들이담긴댓글들까지함 께보여준실험이있다. 또 다른 조건에서는 '비 추천' 이'추천'의세배정도되는댓 글을 같이 붙였다. 기사에 반 대되는 내용의 댓글을 본 경 우, 기사만 본 경우에 비해 여 론이기사에덜우호적인것으 로판단했는데, '비추천'은여 론지각에그다지영향을미치 지않았다. 또하나는체계적이고비판적 이고깊이있는사고를하는사 람들, 즉 인지 욕구가 높은 사 람들은 댓글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가의 문제였는데, 연 구 결과 인지 욕구가 높은 사 람도여론인식에있어서는댓 글의영향을받았지만,본인의 의견을댓글과같은방향으로 수정하는경향을깊이있게생 각하는걸귀찮아하고싫어하 는사람들에게서만나타났다. 그렇다면 여론 지각, 즉 여론 이이렇다고사람들이인식하 는 것이 무슨 의미를 갖는가 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겠 다.커뮤니케이션학고전이론 중에'침묵의나선이론'이라는 게있다.사람들은남들로부터 따돌림당하고싶지않다는욕 구때문에끊임없이타인들의 관심, 취향에 신경을 쓰며 만 약자신의의견이나취향이소 수에속한다고판단되면공개 적인장소에서는그걸드러내 지 않는 것이다. 그 결과 사람 들이표현하지않는의견은공 론장에서아예존재하지않는 의견이되어버리고,자기의견 이소수라고생각하는사람들 이 입을 다물게 되면서 소수 의견은실제로존재하지않는 의견으로전락하게된다는게 이이론의핵심이다. 여기서 여론을 파악하는 것, 즉 다른 사람들이 주로 어떤 생각을 하는지, 다수 의견이 뭔지를판단하는데매우중요 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언 론이었고 오늘날에 있어서는 댓글이나 소셜미디어 포스팅 이 되어있다는 것이다. 여기 또 하나의 실험 결과가 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범죄 기사로내용은입양한아들을 살해한아버지에대한것이다. 기사밑에보면내용과는상관 없이 '그쪽 동네에서는 이런 일들이 흔하다'며 마치 특정 지역이어서그런흉악범죄가 자주발생하는것처럼폄하하 는댓글들이있다. 전라도, 경상도 두 버전의 기 사를 만들고, 기사 아래에 지 역감정을조장하는댓글들을 달아 놓은 조건, 그걸 반박하 는 댓글을 달아놓은 조건, 지 역감정과전혀관계없는댓글 들만 있는 조건 등 세 가지를 만들어비교한다면,태어나자 란곳이자아를형성하는데중 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일 수록지역감정조장댓글을본 경우실제해당지역의대도시 범죄율이높을것이라추정하 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이러한효과는지역감 정조장댓글에누군가반박하 는 댓글을 단 경우 현저히 줄 어들었다.이런의미에서적극 적으로반대의견을표현하고 혐오,증오발언을교정하려는 시도를하는시민정신이굉장 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우리가 혐오나 증오 발언 에 반대한다는 걸 좀 더 적극 적으로표현하고지지,연대를 표명하는것이중요하다는것 이다. 혐오, 증오 발언이 문제가 되 는 또 다른 이유는, 다른 사회 구성원들에대한믿음을무너 뜨리기때문이다.우리가불편 하고힘들지만마스크를꼭쓰 고 다니는 것은 각자가 사회 구성원들으로서역할을할때 사회가 좀 더 안전해지고 더 빨리일상으로돌아갈수있다 는 믿음 때문이다. 이렇듯 사 회적신뢰는공동체를유지하 는필수자원이라는뜻에서사 회자본이라고도한다. TV 토론에서 정치인들이 막 말을 주고받는 경우 사람들 이 해당 정치인 뿐 아니라 정 부나 국회, 정치 시스템 자체 에얼마나신뢰를잃게되는가 를보여주는고전적연구들이 있다.정치인들이토론프로그 램에나와막말을하는모습을 보여준경우와그렇지않은모 습을 보여준 경우, 사람들이 느끼는정치인및정치시스템 에 대한 신뢰가 큰 차이를 보 였다.특히갈등회피형인사람 들일수록막말이갖는부정적 인효과가크게나타났다. 최근온라인언론사의페이스 북페이지에달린댓글들을가 지고 유사한 실험을 한 결과, 인종차별, 성차별 등 막말이 섞인 댓글이 달린 경우, 댓글 을 읽지 않은 조건에 비해 타 인에 대한 신뢰가 더 낮아지 지는 않았는데, 반대로 점잖 은 댓글이 달린 경우 사회적 신뢰가높아지는것을발견했 다. 즉, 워낙혐오댓글이만연 하다보니바닥을찍은사회적 신뢰가점잖은댓글을읽게되 면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것이다. 미디어 플랫폼들이 댓글란을 아예 폐지해버리거나 AI를 이 용해서 악플을 걸러낸다거나, 댓글실명제를하려는시도들 도했지만이는사후조치라는 생각이 든다. 중요한 것은 혐 오표현을억제하고가리는것 이 아니라, 그런 표현이 나오 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좀 더 본질적으로 진단하고 해결책 을 생각하는 것이다. 또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혐오 나 증오는 가짜 뉴스, 허위 정 보에의해서형성되는경우들 을많이볼수있다.이런경우 에는정보의진위를판별하는 것이상으로정보처리자로서 가지고 있는 능력의 한계, 인 지적인편향등을잘인지하고 이로인해우리판단이잘못될 수 있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두 고어떤사회적인이슈에대해 서혹은공공연하게돌아다니 는혐오에대해서본인의입장 과태도를형성하는것이매우 중요하다는생각이든다. 넷플릭스<인터넷으로마약을파는법>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