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14 ivisionmagazine.com FRI, 16th JUL 932 생의프리즈 Frieze of Life 뭉크의삶과예술 1 정신분석을통해본예술가의삶과사랑 by우디 "어느날저녁나는두친구와함께길을걷고있었다.한쪽에는마을이있고 아래에는피오르가있었다.피곤하고지친느낌이들었다. 해가저물고있었고구름이피처럼붉게변했다.나는자연을뚫고나오는절규를느꼈다. 그절규는마치실제처럼들렸다." 이글은뭉크가[절규]라는작품을작업하게된계기에대해토로한것이다. 음은그의자아형성시기에매 우 큰 영향을 미쳤다. 어린 시 절어머니와누이를상실한경 험은이후뭉크의예술세계에 큰영향을끼쳤고우울하고고 독했던유년시절의경험은뭉 크의그림에도사리는모호하 고어두운그림자로형성되었 는데그의그림에드러난검은 그림자는그가말한공포와슬 픔과죽음의천사들일가능성 이크다. 아버지가돌아가신1889년그 의일기장에는다음과같이썼 다. “나의 아버지는 정신병적 일정도로신경질적인기질을 지니고있었고강박적인종교 인이었다.나는그로부터광기 의 씨앗을 물려받았다. 공포, 슬픔, 죽음의 천사들은 내가 태어난 날 부터 내 곁에 있었 다.” 유년시절 겪은 어머니와 누나의 죽음이라는 트라우마 와아버지의냉혹한양육방식 은부정적인정서를뿌리내리 게했을것이다.심리학에서는 유아기에겪은강력한정신적 충격과불안한감정의기억은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더라도 해마에저장된다고설명한다. 뭉크의유년시절경험은건강 한애착대상의상실과가혹한 양육환경에비롯된애착외상 이라고 볼 수 있다. 애착 외상 의 가장 중심적인 징후는 ’깊 은 불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성인기의사람들관계에 서 ’편안함‘과 ’안정감‘을 찾기 어려운성인애착문제의소지 를 갖게 한다. 뭉크가 경험한 가족들의죽음은그자체만으 로도강한정서적고통을일으 킬 수 있었고 냉혹한 양육 환 경 속에서 ’심리적 고통‘을 어 떻게다루어야하는지조율해 주는대상이없었기때문에정 서조절능력의발달에어려움 을있었을수있다. 심리학적인 용어로 설명하 면 이런 일련의 경험은 ’두려 움에 홀로 남겨지는 것‘이라 고 할 수 있는데 아마도 ’마음 을마음으로안아주는경험이 없는것‘,즉’홀로됨‘이라는핵 심적인애착외상경험일것이 다. 애착 외상에서 ’홀로됨‘은 이미수많은연구에서밝혀졌 듯이성인기까지영향을미치 고 많은 성인 이후 정신증적 장애와관련되어있다. Blatt(2008)의 말을 빌면 ’초 기 애착 관계는 일생동안 겪 는근본적인심리적발달문제 와관련되는데상호적이고의 미있으며개인적으로만족스 러운대인관계를확립하고유 지하는것과일관되고현실적 이며분화되면서도통합된,본 질적으로 [긍정적인 자기감] 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것‘에 기반을제공한다.뭉크의불우 했던어린시절은두려움의순 간에정서적으로자기스스로 를 위로도 할 수 없었고 타인 의 도움에 의존할 수도 없었 을 것이다. 이는 애착 연구자 들이 말하는 '자율성'과 '관계 성'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했 을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평 생에 걸쳐 '관계성과 자기 정 의(자율성)'라는 경험의 근본 적인양극을개발하고통합해 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 두 가지성격발달의노선이정상 적으로이루어진다면성숙하 며포괄적성격의구조로통합 되게된다.이를Erikson은‘자 아정체성(self identity)’이라 고하였다. 그런면에서뭉크의강박과우 울, 정신착란 등의 증상은 애 착 대상의 상실과 건강한 애 착 대상이 없는 환경 속에 홀 로 성장한 경험, 정신병리에 취약한유전적인소인도관련 될수있다. 뭉크가남긴일기 와그림들은그의정신적고통 과부정적편향의사고과정을 노르웨이의 화가 에드바르 트 뭉크(Edwarr Munch, 1863~1944)는실존적불안과 죽음에대한공포를정직하게 펼쳐보인화가이다. '탄생의순간부터죽음과질병 의천사가자신을따라다녔다' 던고백처럼그의그림에는죽 음의그림자가짙게드러워져 있다. 그의 그림은 불안과 고 독, 질병과 죽음으로 일평생 고통받았던한인간의기록이 기에충격과불쾌감을안겨주 기도하지만이와동시에불안 과 질투, 공포와 절망이라는 인간의원초적인감정을진솔 하게표현함으로써현실의구 속에갇히지않은인간내면의 과정을여과없이드러내고있 다. 인간의 심층 심리 내면의 불안,우울,공포,죽음등의주 관적인감정들이미학적인형 태로왜곡되거나과장되지않 은채어두움그대로표현되고 있기때문에관람객에겐불편 한감정을유발하기도하지만 동시에내면적고통의솔직한 직면덕분에관객들로부터보 편적인공감을얻을수있다. 노르웨이출신의뭉크는의사 였던아버지와이지적이고자 상했던 어머니 사이에서 5남 매의 둘째로 자랐다. 그의 아 버지는 군의관이었다가 이후 엔빈민가의의사로지냈기때 문에가족들은자주이사를다 녔고뭉크의유년시절에는가 족들의연이은죽음을경험하 였다. 5살때서른살의어머니가폐 결핵으로세상을떠났고그의 나이14살에엄마처럼따르던 누나소피가역시폐결핵으로 사망하게된다.결핵과류마티 시즘을앓아병약했던뭉크는 13세에학교를중퇴하고홈스 쿨링을하며대부분의시간을 약병이나누워있는사람등의 모습을그리는등혼자지냈고 유령이야기에탐닉하기도하 였다. 어머니가돌아가신뒤기독교 근본주의자인 아버지는 엄격 하고차가운양육태도를보였 으며가족들에게극단적인청 교도적인삶을강요하였다.자 신이의사였지만가족을살리 지못했다는죄책감에우울증 과종교에집착하는광신도의 모습으로보였다. 어머니의죽음이후뭉크는화 가였던이모손에서자랐으나 비극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 다.여동생라우라는조현병으 로입원과퇴원을반복했고여 동생이입원한병원을방문할 때 괴상한 소리를 내는 환자 들에게두려움을느끼기도하 였다. 조현병은 망상, 환각, 와 해된 언어, 극도로 화해된 또 는 긴장성 행동, 음성장애 등 이 상당 기간 존재해야 한다. 조현병과관련하여쌍생아연 구를살펴보면유전적인요인 이조현병의발명에상당히주 요한원인이라고볼수있지만 발명 일치율이 100%인 것은 아니기에유전적요인과환경 적 요인 모두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뭉크의 정신병에 대한 두려움은가족력과냉담한아 버지의 태도, 가혹한 가정 환 경과연결될수있다. 뭉크의남동생역시결혼직후 사망하였으며 아버지도 뭉크 가 26세가 되던 해 자살하고 만다. 가족들의 연속적인 죽 <병든아이>1885-1886.캔버스에유채,오슬로국립미술관 ⓒ본광고이미지는비전매거진이제작하였습니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