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16 ivisionmagazine.com FRI, 16th JUL 932 그리겠다.보이는것을그대로 그리지는않겠다’라고밝히고 있다. 이는 사실적인 대상의 재현 을 포기하고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겠다는 선언이다. 드가 와르누와르와같이인물과자 연의아름다움을찬미하던이 전의사조와달라지게된데에 는20세기심리학이대두되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유 럽 전역에 소개된 것과도 무 관하지는않다.뭉크의그림은 인간의내면을탐구하는심리 학의과업과정확하게맞물려 있기때문이다. 그는살면서겪었던경험에대 한깊은인간적감정과고통에 대해탐구하려하였다.뭉크는 자신의 이야기를 그려내면서 마치 ‘자아 인식에 대한 질문 을 하고 마치 의사가 환자를 들여다보듯임상적인방식으 로탐색’하는데집중한다. 프로이드(1856~1939)의 정 신분석모델은 현대의 심리학 모델 중 가장 오래되고 많이 알려진최초의체계적모델이 다. 정신분석의 기본 개념 중 에심리결정론은과거의여러 가지경험에의하여현재의생 각, 행동 그리고 느낌 등이 영 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특히 정신분석에서억압된충동,갈 등은이상행동을유발하는주 요원인으로주목하고이러한 본능적충동의억압이신경증 의원인이된다고하였다. 19세기의 심리학은 ‘의식’의 심리학이었다면 프로이트는 [꿈의 해석](1900)에서 처음 으로 마음의 지형학적 이론 을 기술하였다. 정신의 기제 가 [의식-전의식-무의식]으로 서로다르게작동한다는개념 이다.특히무의식은의식에서 억압되어의식에서접근할수 없는영역을뜻하는데의식밖 에있어서의식수준에서는알 수없는정신의영역이지만무 의식은 꿈, 의도적 망각, 인격 분리, 실수 등의 현상으로 표 현된다고하였다.무의식은개 인이 의식할 수 없으나 그 개 인의행동에결정적인영향을 준다.프로이트는인간의정신 구조를 원초아, 자아, 초자아 로설명하고있는데원초아는 무의식기능의중요한부분을 차지한다.원초아는모든심리 적기능의에너지원으로구조 화되지않은본능적욕동들의 저장소라고하였다. 생생히 기록하고 있다. “나는 날마다 죽음과 함께 살았다. 나는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 인 두 가지 적을 안고 태어났 는데그것은폐병과정신병이 다. ...질병, 광기, 죽음은내요 람을둘러싸고있던검은천사 들이었다.” 병으로인한죽음과상실의고 통인주제는<병든아이>라는 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이 작 품은사랑했던누나의죽음이 그의 심리 저변에 얼마나 강 하게 고착되어 있으며 그 때 의상처가얼마나깊은충격을 주었는지사랑하는사람의죽 음을경험한사람들이라면누 구나뭉크의심정에공감할것 이다.이토록불우했던뭉크의 가족사는뭉크가평생죽음에 대한공포와불안에시달리며 대결했던자기자신의내면을 이루는데영향을주었다. 1889년 뭉크는 스스로 ‘생 클 루선언St. Claudmanifesto’ 라고 밝힌 노트에서 ‘우리는 더 이상 실내 인테리어나 책 읽는사람들,뜨개질하는여성 들을 그리지 말아야 한다, 숨 쉬고 고통받고, 느끼고, 사랑 하는살아있는인간의모습을 뭉크에게 드리워졌던 죽음에 대한두려움은뭉크의내면세 계를형성하고낯선사람에대 한 두려움, 여성에 대한 두려 움, 질병과 세균에 대한 두려 움, 텅빈 공간에 대한 두려움, 알코올중독등으로나타나기 도하였다. 1879년 20세가 된 그는 아버 지의뜻을따라공과대학에진 학하지만화가가되기로하고 대학을중퇴한다.이후오슬로 미술공예학교에들어간다.뭉 크는 무정부주의를 신봉했던 한스 예거(Hans Jaeger) 를 필두로한노르웨이의무정부 주의자와 진보주의를 자처하 는비평가그룹에깊은영향을 받았으며당시뭉크와어울리 던 보헤미안들은 남녀평등과 자유연애를 숭상하며 전통적 인가치를부정하였다. 1885년 뭉크는 [병든 아이]와 [사춘기] 등을 완성했고 이듬 해최초의개인전을열었으나 ‘거칠고암울한묘사방식으로 물감을터무니없이칠한데다 가형태도제대로표현되지않 았다’는 혹평을 들었다. 하지 만그가평소존경했던크리스 티안크로그의지원으로1889 년 10월부터 1892년 까지 세 차례정부장학금을받아프랑 스파리 ‘에꼴데보자르’로유 학을 갈 수 있었다. 하지만 뭉 크는학교수업에그다지흥미 를 느끼지 못하고 몇 개월 만 에그만두는대신파리에체류 하며독일과이탈리를여행하 였고 인상주의와 상징주의의 영향을받았다.그는파리에서 만난자유로운영혼툴루즈로 트레크,색채로감정을표현하 는반고흐와폴고갱을좋아했 는데개성과에너지로각자의 내면을표현한화가들은뭉크 에게예술적지표가되었다. 뭉크의 ‘여성 혐오’는 잘 알려 진 사실인데 성인이 된 뭉크 에게여성혐오에불을당기게 하는사건은사랑의실패였다. 1885년여름스물두살의뭉 크는자신을포함한젊은화가 를후원하던화가프리츠탈로 의형수인스물다섯살의밀리 탈로 에게 매료된다. 당시 유 럽은자유주의와퇴폐적인세 기말적문화가만나자유로운 연애가이루어졌다.뭉크는밀 리에게순정을바쳤지만그녀 는매우자유분방한여인이었 고여러남자들과연애를하였 다.유부녀이자자유연애자였 던 밀리 때문에 뭉크는 1889 년파리로유학을떠날때까지 그녀와연애를했지만끊없는 의심과질투로정신적고통에 시달렸다. 밀리는 결국 전 남 편과이혼하고다른남성과결 혼하게되는데이과정에서뭉 크에게어떤기별조차하지않 았다.이러한사건을겪으면서 뭉크는여성전체를혐오하고 가증스럽게보는지경에이르 게된다. 또한베를린에정착해예술가 들과활발히교류하고있을때 만난 음악 공부를 하러 온 고 향 후배 ‘다그니 을류’와의 사 랑도그의여성혐오에한몫을 더하게 된다. 다그니 을유는 아름답고교양과지성미가넘 쳤고예술적인기질이뛰어나 서주변에는늘그녀를흠모하 는예술가들이많았다.다그니 역시뭉크와뭉크의친구와양 다리를걸친채데이트를즐기 다결국뭉크를버리고친구와 결혼을하게되었지만그녀는 한스토커에게살해되고만다. 이시기에그의불안한심리를 적나라하게표현한작품이[절 규]와[불안]과같은연작이다. 핏빛하늘아래 [절규]로번역 되는이작품은극단적인불안 에빠진심리상태를표현하는 세계적인아이콘이되었다. 우리가잘아는[절규]라는작 품은죽음에대한불안과두려 움을내면화한그림이다.사람 의표정은일그러져있고감정 의압력으로얼굴모양도왜곡 되어있다.구부러지고물결치 는하늘과물의구불구불한강 한곡선과대각선을이룬다리 는모두귀를막고있는한남 자에게 집중된다. 두 손으로 귀를 막고 눈과 입을 크게 열 고 있는 사람은 스스로 절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절 규‘를 듣지 않기 위해서 필사 적으로 귀를 막고 애쓰는 모 습이다. 이작품속에는불안함과공포 가 일렁인다. 멀리 친구 두 사 람의모습이보이지만거리가 멀고 붉은 하늘은 핏빛 같다. 이하늘은노르웨이오슬로의 피요르드바닷가의기상현상 이라고 하지만 이 붉은 색은 불안감을강조한다.뭉크는자 연의절규를환각과환청을통 해 보고 들은 것이며 이에 두 려움에떨고있는모습이다. <다음호에계속> <병실에서의죽음(1983)>, 오슬로국립미술관 <절규>1893.보드에템페라.오슬로국립미술관 (소더비에서2012년1억1천9백만달러에판매) ⓒ본광고이미지는비전매거진이제작하였습니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