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44 ozkoreapost.com FRI. 18. MAR. 964 인생을살아오면서우리는많은결정들을내리고 살아간다. 어떤학교를갈것인가?누구와결혼을 할것인가?어디에집을구할것인가?어떤직업을 가질것인가? 와같은큰결정들을내리기도하고 무엇을먹을것인가?잠을조금더잘것인가?어떤 옷을입을것인가?와같은작은결정들을수도없 이하면서일상의삶을살아간다. 그런데, 어떤 결정들은 삶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 어놓게하기도하고어떤결정들은처음에는별것 이아닌것같으나나중에그결정이큰결과를가 져오게하기도한다. 예를들어, 호주라고하는곳 으로 이민을 가기로 하는 결정은 삶의 방향을 완 전히바꾸어놓게하는결정일수있다. 호주에와 서사는곳,친구,직업등삶의대부분의것이완전 히바꿔지기때문이다. 그에비해어떤결정은‘누 군가를미워하지않고용서하기로한다’라는것처 럼눈에보이지않는작은결정일수있지만용서함 으로인해오는마음의평안이자신뿐아니라가족 들과타인과의관계가운데도영향을미쳐서주위 의모든사람들이함께행복해지는결과를가져오 기도한다. 결정과선택의중요성을아는사람들중좀더탁월 하고완벽해지고싶은성향으로인해오히려결정 을잘내리지못하는사람들이많다. 이렇게결정 을못내리는사람들은때로배우자나타인이자신 을대신해서결정을내려주기를바라는경우도종 종보게된다. 그럴때자신이면밀한준비와조사 를다하고는결정을내리지못하고결정권은타인 에게주어버리는결과를낳게된다. 인생은선택의연속이고바른선택을연습하지않 으면늘후회와회피의삶을살아가게되고때로는 선택의결과가주는고통을뼈저리게경험할수밖 에없게된다. 다른사람에게나의삶의선택을내 어주어버린다면나의삶은자유와자율성을상실 해버림으로더이상나의삶이아니게된다. 그러 므로힘들지만자꾸선택하고결정하는연습을하 고결정을할때좀더나은결정을내리도록노력하 는것이필요하다. 그렇다면어떻게하면바른선택을할수있을까? 또는바른결정을할수있을까?이질문에쉬운답 은없지만몇가지의생각을살펴보고자한다. 사람들이어떤결정을할때는 ‘이익추구’의관점 이많다. 어떤결정을하는것이나에게더유익이 될것인가를생각하고결정을내리는것이다. 필 자는상담을하면서종종내담자의결정을돕게되 는데내담자가어떤결정을하는것이자신에게더 유익된결과를가져올지를생각하게할때가있다. 이것은개인의차원에서많은도움이될수있다. 감정적차원이아닌이성적차원에서손익을생각 하고바른결정을내리도록돕기때문이다. 이것은자본주의의논리와도비슷하다. 수요와공 급의원칙에따라더이윤이남으면그일을하기로 선택하는것이다. 그런데한개인적인입장에서는 이익을추구하는결정을내리는것이합리적일수 있으나그것이개인이나집단이기주의로이어지 면나의가족의이익을위해나는어떤불의한일도 서슴지않고하는것은잘못된길로가게될수있 다. 나의이익이타인의이익이나모두의이익이아 닐때가많기때문이다. 예를들어, 코로나사태가 생겼을때사람들은사재기를하기시작했는데사 바른결정과선택 호주기독교대학김훈박사 재기를한사람에게는유익이고안심을가져다주 는행동이었지만필요한물건을사지못하는사람 들에게는큰어려움을주게되었다. 다수를위한결정에초점을맞추게되면 ‘공리주 의’의관점을띄게된다.공리주의에서는다수의유 익을위한결정을내리는것이다. 혼자가아닌다수 를위한결정을내리는것은상당히합리적일수있 다. 많은사람을유익하게하기때문이다. 그렇지 만거기에는또다른문제가있을수있다. 한개인 의인권이다수의유익을위해희생되어질수있기 때문이다.예를들어,코로나바이러스로인해무조 건문을닫아야한많은비즈니스운영자들은공리 주의를기반으로한결정의피해자일수있다.다수 의생명을구하기위해정부는그런결정을내렸고 사람들은그것을따르고받아들여야했으며누군 가는 그런 결정의 결과로 ‘자살’을 선택하는 일도 생겼으니말이다. 다음으로사람들이결정을내릴때는‘미덕추구’의 관점이있다. 어떤결정이옳은것이고사회의정 의에가깝다고여길수있는것인지에따라결정하 는것이다.그들에게는더정의롭고청렴하고사랑 과 자비와존중과배려와같은덕목이중요하다. 예를들면, 이번에코로나바이러스가발병함으로 인해많은사람들이직업을잃어버리고특히,임시 비자소지자들은더많은고통을겪게되었는데많 은한국인상인들이유학생들과워킹홀리데이비 자를가진사람들에게무료음식이나비상용품들 을제공하는일들이일어났다. 또한정부도어려운 시기에정부예산을다른것에쓰지않고사람들을 돕는일에우선적으로사용하는일들이있는것은 ‘어려운시기에서로를돕는것이옳은것이라’는 생각들이 사람들에게 있고그것에따른결정 을내렸기때문이다. 작은개인의삶의결정 과큰사회적구조안의 결정과 선택에는 차이 가있을수있지만동일 하게모든결정에는개인의가치관또는사회적담 론 (social discourse)그리고그이면에는철학적 이슈와 함께 가는 윤리적 부분이 함께 따라간다. 개인 모두가 성인군자처럼 완벽하게 도덕적이고 윤리적인결정을하면서살아갈수는없지만적어 도내가내리는결정이나선택이나뿐아닌타인에 게영향을줄수있는결정이라면전체의유익과결 정이타인에게미치는영향을생각해보는것이개 인과공동체전체를건강하도록유지하는것에필 요한것이라생각된다. 최근,코로나로인한중국의위상이내려간부분에 대해서말이많은것은문제가생겼을때중국이대 처한방법에대한윤리적부분에대한책임성의문 제가크다고본다.그들이내린결정이집단이기주 의의결정이아니라좀더큰사회의공익을생각하 고한사람한사람의인권과복지를존중하는윤리 적결정을할수있었다면전세계는지금많이달 라져 있을 것이다. 살아가면서 우리가 내리는 결 정들이작은결정일수있지만 ‘나비효과’처럼작 은결정이큰효과를가져오는결정일수있다. 그 러므로내가내리는결정을나의관점에서만생각 하지말고조금더큰관점으로바라보고살펴봄으 로좀더행복한사회를만들어나가도록기여할수 있기를바란다.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