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광고문의 0422 258 092, 0432 008 985 visionweekly01@gmail.com R 6 AUSTRALIA 호주뉴스 브리즈번대홍수, 주택시장열기못식혀 피해지역집값2-3년하락후다시반등 하지만 내집을 장만하는 ‘호 주의 큰 꿈(Great Australian Dream)’이 많은 국민들에게 급속도로 악몽으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젊은층과 빈곤층을 중심으로 주택보유 율(home-ownership rates) 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기 때 문이다. 그라탄연구소의 분석에 따 르면, 1981년 60%가 넘었 던 25~34세의 주택보유율은 2016년 45%로 추락했다. 이 연령대의 하위 40%의 주택 보유율은57%에서28%로더 줄었다. 중년 빈곤층의 경우 도마찬가지다. 45~54세하위 40%의주택보유율은1981년 71%에서 2016년 55%로 급 락했다. 코츠는 “집값 앙등으로 20% 계약금(deposit)을 저축하는 데 매우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택보유율이 하락하 고있다. 1990년대초평균약 7년동안 저축하면 계약금을 마련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거의 12년을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보증금을모아나이 가 들어 집을 사고 나면 은퇴 할 때까지 홈론 원금을 모두 상환하지못할수있다. 코츠는“연방정부와주정부가 공급을늘리고수요를줄이기 위해필요한개혁을채택하더 라도주택가격은높게유지될 가능성이높다”고예상했다. 또한 그라탄연구소는 은퇴한 세입자의거의절반이빈곤하 게살고있으며, 특히55세이 상의여성노숙자가빠르게늘 고있다고우려했다. 이에코츠는주택보유율감소 를타개하기위해국가소유권 공유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도의 골자는 연 방정부가저소득층을위해주 택의 공동소유주로 참여하는 것이다. 몇몇 주는 이미 이 제 도를시행하고있지만국가차 원의제도는없다. 코츠는 전국주택금융투자 공사(National Housing Fi- nance and Investment Cor- poration: NHFIC)가 주택 가 격의30%까지공동매입하도 록하자고제안했다. NHFIC는은행과달리이자나 임대료를부과하지않는다.대 신, 주택 구매자는 인지세 등 의매매비용,주택유지비,구 청세(council rates) 등을 부 담해야 한다. 주택 구매자는 NHFIC의공유지분만큼소유 권을나눠가져야하지만,필요 한대출액도함께줄어들기때 문에상환이자를덜어낸다는 장점이있다. 코츠는 “이 제도는 이른바 기 댈 부모인 ‘엄마 아빠 은행 (bank of mum and dad)’이 없는젊은호주인들이주택시 장에더빨리진입하도록도울 것”이라고확신했다. 퀸즐랜드주남동부에 휘몰아친폭우와홍수도 불붙은브리즈번의 주택시장을잠재우지 못할것으로예상된다. 브리즈번의홍수취약지대의 일부주택들은11년만에 물에잠겼지만, 일부홍수피해지역의 중간주택가격은 11년동안두배이상 증가했다. 디지털 부동산 결제 플랫 폼(digital property settle- ment platform) 펙사(PEXA) 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집값 이폭등한2021년83만4,008 채의 부동산이 거래돼 전년 대비 31.8% 급증했다. 작년 호주 부동산의 거래 잔금결 제(sale settlements) 총액 은 6,887억 달러로 1년동안 2510억 달러나 껑충 뛰었다. 2020년 대비 57.3%의 높은 증가율을기록했다. 집값폭등한2021년 83만4천건부동산거래 전년대비약32%껑충, 동부3개주각각22만건 이같은 급증 현상은 20년래 최대집값앙등과2년동안팬 데믹영향이컸기때문이다. 주별로는 NSW에서 22만 8,657건, 빅토리아 22만495 건, 퀸즐랜드 23만2,824건 (+40.8%)의 부동산 거래가 성사됐다. 한편, 2021년모기지고객36 만3,978명이 홈론을 재융자 (refinancing)해 2020년보 다 28% 급증했다. 주별로는 NSW 10만1,203건(전년 대 비 +15.2%), 빅토리아 10만 6,048건(+3.6%), 퀸즐랜드 4 만8,768건(+12.4%)순이다. 오스트레일리안 금융그룹 (Australian Finance Group: AFG)의 데이비드 베일리 (David Bailey) CEO는 “많 은 사람들이 2년 전 고정 금 리(fixed-rate home loan) 에서 이제 낮은 이자율의 변 동금리(lower variable rate loans)로이동하고있다.조만 간 호주중앙은행(RBA)이 기 준금리를인상할것을예상하 기때문”이라고설명했다. 금리 비교 웹사이트 캔스타 (Canstar)의 스티븐 미켄베 커 CEO는 "많은 홈론 고객들 이 이자율 인상을 한 번도 경 험하지 못했다. 실제로 이자 율이 인상되면서 홈론 상환 부담이 커질 경우 예상보다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우 려했다. 호주 동부 해안지역 특히 퀸즐랜드 남동부 및 뉴사 우스웨일즈 북부지역은 지난 1년 동안 옥션활동 의 증가와 타주 이주민들 의 증가로 주택가격이 크 게성장하였다. 그러나 지난 2월말 발생 한 기상이변과 기후변화 로인한홍수는이지역주 택시장에 대해 정신이 번 쩍들게 할 만한 충격이었 다. 코어로직은 이번 홍수 가 주택시장과 임대시장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에 대해 간략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2011년 브리즈번 대홍수 이후 시티의 주택가격은 2011년 1월부터 2012년 1월 바닥을 탈출하기 까 지6.1%가하락하였다. 이러한 하락세는 2011년 11월부터감행된몇차례 의 이자률 하락으로 회복 세로 돌아섰지만, 2014년 3월까지는 2010년 12월 의 주택가격수준으로 회 복되지 못했다. 그러나 브 리즈번의 주택가격은 이 미2010년중반금융정책 의 강화로 약세로 돌아서 홍수 하나만이 주택가격 에 충격을 주었다고는 단 정하기어렵다.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가 가장 컸던 브리즈번 8개 서버브의 주택렌트비는 2011년 홍수이후 하락하 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 다.오히려렌트비는2012 년 1월까지 12개월 동안 4.3%가오른것으로나타 났다.이와같은원인은그 당시에 사용 가능한 임대 주택 물량이 부족해 렌트 비에 상승압력을 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과2022년홍수의가장큰 차이점은 기상이변의 시 간간격으로, 2011년 홍수 는1974년이후처음겪는 대홍수로 100년에 한번 나올 수 있는 기상이변이 었지만 금년 대홍수는 11 년만에 찾아온 기후재앙 이다. 따라서 이렇게 짧아진 홍 수 간격으로 바이어들은 낮은 지대의 주택구입을 회피할 것이고 홍수위험 이 낮은 지역의 주택수요 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 다.또한홍수로인한높은 보험료는 바이어들로 하 여금 홍수에 취약한 지역 을회피하게할것이며,이 미 주택수요 증가로 상승 하고 있는 빌딩코스트를 더욱 상승시킬 것으로 보 여진다. 동부해안지역 홍수와주택시장 전주한의 부동산칼럼 Disclaimer 상기 내용은 일반적인 부동산 관련 기사의 번역이나 관련 정보에 대한 안내문이며, 이에 대한 어떠한 법률적인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