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24 ozkoreapost.com FRI. 25. MAR. 965 ⓒ본광고이미지는비전매거진이제작하였습니다. 네덜란드의 더치페이 byHazero 어쩌면한국에서제일유명한더치문화 티키(Tikkie - 한국에서 카카 오뱅크로돈보내달라고요청 하는 것과 비슷)를 보낼 수도 있다. 어쩌면 당연하다, 만 18 세가되기전까지는정말쥐꼬 리만한시급을받으며일하는 친구들이다. 게다가 독립성의 이유로 용돈도 안 받는 게 일 반적이라고들었다.하지만적 어도! 혹은 다행이게도 내 경 험상으로는그런친구는없었 다. 만에 하나 누군가가 내게 10센트단위티키를보낸다고 해도 나는 그냥 웃으며 내가 다음커피를사다줄것같다. 논란의 여지가 되는 연인 관 계에서의 더치페이를 살펴본 다면 이것 또한 상당히 케이 스 바이 케이스, 사람마다 다 르고 경우마다 다르다. 나의 더치남자친구는고맙게도가 난한유학생인나의상황을고 려해주어 단 한 번도 더치페 이를 요구한 적이 없다. 본인 은월급받는직장인이니본인 이 내는 게 더 속편하단다. 그 렇다고 내가 돈을 아예 안 내 는 것도 아니고, 나도 눈치가 있으니 내고 싶을 때 내고 여 유가될때낸다.한친구의경 우에는 두 명 다 네덜란드 사 람들인데,이쪽도남자친구가 다 낸다고 한다. 다른 친구는 스페인-네덜란드의연애관계 인데무조건반반이란다.이탈 리아 - 이탈리아 커플의 경우 엔 나처럼 그때 여유가 되는 사람이 내고 영국 - 미국도 반 반이라고 하니, 이 정도면 예 시로충분하려나.사람마다다 르다,정말. 개인적으로 더치페이의 의미 가 성립되는 건 그 관계의 모 든이들이모두평등한관계일 경우에가장말이된다고생각 한다.권리의평등만이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물질적, 심지 어는심리적관계까지도평등 한 경우에 가장 그 의미가 빛 을 발한다는 게 요점이다. 경 제적으로 한쪽이 훨씬 더 여 유로운상황에서무조건반반 을요구한다면경제적으로불 리한사람이굳이무리해가며 그관계를지속해나갈필요는 없을것이다.혹은경제적으로 여유롭더라도그사람이당시 심리적으로 여유롭지 못하다 면이번엔상대방이배려를해 주면된다. 종종온라인에서연인관계에 서더치페이를하네마네상당 히열기가뜨거운논란들을보 게 된다. 서로 사랑하는 사이 에그렇게복잡하고세세하게 십원단위까지반반나누는건 더이상사랑하는연인관계가 아니라그냥친구보다도못한 관계가 아닐까, 생각한다. 왜? 친구관계에서도 서로 배려는 한다. 나라면 내 친구가 상심 을 해서 술 한잔하자고 부르 면, 그냥그날은내가쏜다. 그 렇게라도나의위로를표현한 다. 그게 아니라 둘다 안정적 인 상태에서 저녁을 먹는다 면그날은더치페이를하면된 다. 내 친구도 내게 똑같이 그 렇게 해줄 것을 알고 있기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물 론개인마다의견차가있겠지 만 그것 또한 두 사람의 연애 이니 그 두 사람이 잘 해결하 면된다.이게안맞으면안만 나면되고.간단명료. 전에도 몇 번 언급했듯이 네 덜란드 사람들은 실용성, 소 박함의문화를가치있게여기 기때문에짠돌이의이미지가 말이 전혀 되지 않는 건 아니 라고생각한다.하지만외국생 활이 점점 길어지며 단 한 가 지명확하게알수있는건문 화는문화일뿐이지일반화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모쪼 록 이 포스팅이 '더치페이'에 대한의미의이해도를높이는 데에일조가되었으면좋겠다. 네덜란드에 살며 네덜란드인 남자 친구와 사귀고 함께 산 지도 벌써 4년 차이다. 세월 참 빠르다. 처음엔 그냥 공부 만끝내면떠날요량이었는데 어쩌다보니이렇게정붙이고 발붙이고 살게 된 것 같다. 내 가 '더치 라이프'를 살며 종종 받게 되는 질문은 바로 더치 페이에관한것이다.네덜란드 사람들이짠돌이며돈한푼까 지도십원단위로나누어서낸 다는데,정말이야? 우선 '더치페이'의 어원을 먼 저 살펴보는 것도 나쁘진 않 을 것 같다. 내 생각에 '더치 페이' 자체는 한국으로 들어 오며 변형된 말 같고, 사실은 영어로는 'going Dutch (더치 로 간다)' 혹은 'doing Dutch' 라고한다. '더치'라는 말 자체가 '네덜란 드'라는 나라 이름과 상당히 다르기때문에아예둘의연관 성자체를모르는이들도종종 있다. 'Korea - Korean'처럼 직관적이지않기때문인데,의 미를 살펴보면 똑같이 'Neth- erlands - Dutch'로 이어짐을 알아두자. 어원학의 관점에서는 17세 기 영국-네덜란드 전쟁 (An- glo-Dutch war)으로 생겨난 팽팽한 긴장감, 경쟁, 적대의 식으로인해영국내에서는네 덜란드사람들이교활하고상 스러우며 모욕적이라는 이미 지가 유행하게 된다. 이때 생 긴영국과네덜란드는서로를 비판하고조롱하는관계는지 금도영국인들이술기운에객 기를부리는이들을묘사할때 ‘Dutch courage’ - 네덜란드 인들은 겁이 많아 술 몇 잔을 마셔야지만 용감해진다 - 라 는 말을 쓰거나, 반대로 네덜 란드인들도 영국인들을 묘사 할 때 ‘파인트만 마셔대는 신 사인척하는야만인들’이라는 식으로쓰인다.사실도긴개긴 같지만. 아무튼그렇게영국에서형성 된'Dutch'의이미지는전반적 으로 교활, 겁쟁이, 짠돌이 등 등이고이것이점점널리사용 되기시작해서전세계적으로 그 의미가 알려졌다고 한다. 이렇게 알음알음 쓰이게 된 'Dutch~'의개념이처음지면 으로 기록된 것은 1873년 더 볼티모어 아메리칸 (The Bal- timore America)이라는잡지 에서 소개가 된다. 종종 술집 의 주인들이 'Dutch Treat'의 하우스룰을제공하곤했는데, 이는각각의손님들이본인이 감당할수있을만큼만본인의 이름아래달린장부에한하여 마시게하게끔하는규칙이었 다고 한다. 이때부터 'going/ doing Dutch'의 의미로 확대 가된다. 사실그의미자체만살펴보자 면더치페이가그렇게까지나 쁘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게 내 의견이다.예를들어한국에서 나외국에서나친구들끼리함 께 식사를 하면 내가 먹은 것 마신 것만 돈을 내는 게 당연 하고,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 이라면술값에서는제외가될 수도 있다. 입장 바꿔 생각해 보면 아이스크림을 싫어하는 내가그냥아이스크림전문점 에함께앉아있었단이유만으 로 아이스크림 값을 내야 한 다면 억울할 것 같다. 네덜란 드사람들도그렇게생각한다. 다만십원단위까지도쪼개서 낸다는것은농담과과장이조 금은섞여있다고생각이된다. 물론 다 같이 가난한 학생인 시절에는캠퍼스에서파는커 피 한잔 (보통 1~1.50유로)도 아까울 수도 있고 그에 관해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