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36 ozkoreapost.com FRI. 13. MAY. 972 행복한사람은비교하지않는다 불행한사람은매사비교한다 by이국희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 프다’는 속담이 있다. 이 속 담에얼마나동의하는가?내 옆에있는직장동료가나보 다성과가좋을때기분이어 떤가? 내 옆에 있는 직장 동 료의 인센티브가 나보다 많 을 때는? 내 고등학교 동창 이누구나살고싶어하는동 네에집을샀다고하면기분 이어떤가? 별것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기분이 나빠 지는분도있을것이다.그리 고나같은심리학자들은이 렇게 비슷한 경험을 했음에 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반응 이나뉘는상황을정말좋아 한다.누군가가나보다더뛰 어난 성취를 보이거나 운이 좋거나 성과가 좋다는 상황 은같다.그러나그것에대한 개인의 반응은 다르다. 같은 상황에서 누군가는 불행해 졌는데, 누군가는 큰 영향을 받지않는다. 왜사촌이땅을사는상황에 서누군가는배가아파견디 지 못하지만, 누군가는 괜찮 을까? 그 질문에 답하기 위 해 류보머스키라는 연구자 가 나서 두 가지 실험을 진 행했다.첫번째실험부터보 자. 류보머스키는 대학생들 을 실험실로 오게 했다. 그 리고 행복을 측정한다. 행복 측정문항에는‘나는다른사 람보다행복하다’ ‘이세상에 는보통행복한사람들이있 는데내가그런사람이다’등 의 문항이 있었다. 대학생들 은이런문장들에얼마나동 의하는지 1점에서 7점 사이 로응답했다. ‘1점은전혀그 렇지 않다고, 7점은 매우 그 렇다’이다. 행복을 측정한 참가자들은 과제를하나하게된다.바로 단어 철자 맞추기 과제이다. OGOD라는철자가제시되 면, GOOD이라고 맞추면 된 다. 스크램블이라고도 부른 다.그런데문제는혼자서푸 는게아니라는것이다.두명 이나란히앉아서문제를풀 게된다. 여기서밝힐것이하나있는 데,진짜로실험에참가한대 학생말고,그옆에앉은사람 은사실연기자이다.이연기 자의역할을어떨때는실험 참가자보다 빨리 푸는 척을 하고,다른때는느리게푸는 척을하는것이었다.물론참 가자들 중에 그가 연기자라 는것을아는사람은없었다. 그렇게 철자 맞추기 과제가 끝나면, 참가자들은 다시 한 번행복을측정하게된다.여 기에 더해서 자신의 능력이 얼마나 우수한 것 같은지 1 점에서 7점 사이로 응답한 다. 역시 ‘1점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요. 7점은 매우 그렇 다’에요.여기까지진행한류 보머스키는 수집된 데이터 들을분석해본다. 어떤결과가나왔을까?예상 대로어떤사람들은옆에앉 았던 연기자가 자기보다 문 제를 빨리 풀었을 때 더 불 행해졌다. 자신의 능력도 형 편없다고 평가했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었 다. 이 사람들은 옆에 앉았 던 연기자가 자기보다 빨리 풀던늦게풀던행복에큰변 화를 보이지 않았고, 자신의 능력도 괜찮다고 평가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을까? 그건 바로 과제를 수행하기 전의 행복이었다. 더 자세히 살펴 보자. 과제를 수행하기 전의 행복 점수가 평균보다 높은 집단은 옆에서 문제를 풀던 사람이 자신보다 잘하던 못 하던자신의능력을좋게평 가하고, 행복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과제를 수행하기 전 의행복점수가평균보다낮 은집단은좀달랐다.옆에서 문제를 풀던 사람이 자신보 다못했을때는자신의능력 을좋게평가하고,행복에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 신보다 잘했을 때는 자신의 능력을 나쁘게 평가하고, 불 행해졌다. 실험 1을 통해 류보머스키 는중요한사실을깨닫게된 다.실험참가자의평소행복 수준과 비교하는 성향이 밀 접한관련이있다는것을말 이다.평소행복수준이높은 사람은 타인과 성취를 비교 하지 않지만, 평소 행복 수 준이낮은사람은타인과성 취를비교한다는걸알게되 었다. 자! 그런데 실험 1만으로는 보여주기 힘든 부분이 하나 있다.이세상에'누군가보다 더잘했다혹은더못했다'라 고 명확하게 구분되는 상황 만있는건아니잖은가.객관 적으로봤을때충분히잘했 지만,누군가가나보다더잘 한그런상황도있고,객관적 으로 굉장히 못했지만 나보 다더못한사람이있는그런 상황도있다. 예를들어,내가시험에서90 점을받는것은굉장히잘한 것이지만, 내 옆 사람이100 점받는상황이바로내가잘 했는데누군가더잘한상황 이다. 반대로 내가 시험에서 60점을받아서사실잘못했 지만, 내 옆 사람은 50점을 받는그런상황도있다.이게 바로 나도 못했지만 누군가 더 못한 상황이다. 이럴 때 우리의 행복이 어떻게 변할 까? 더 행복해질까요? 아니 면불행해질까? 류보머스키의 실험 2에 이 질문의답이있다.그리고실 험1과마찬가지로대학생들 을 실험실로 불렀다. 그런데 이번에는 실험이라고 하진 않았다.조금더현실감을주 기위해손가락인형극대회 의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공 고문을 냈던 것이다. 참가자 들의과제는친구와다툰초 등학교1학년정도의학생이 교훈을 얻을 만한 이야기를 손가락 인형극으로 표현해 내는 것이었고, 심사위원처 럼 보이는 연기자들이 심사 를진행했다.그리고이런손 가락인형극을하기전에행 복을 측정했고, 인형극 후에 는자신의능력과행복을측 정했다. 이런 측정이 이루어진 후, 참가자들이 기다리고 기다 리던 심사결과 발표의 시간 이 왔다. 그런데 눈치채셨겠 지만,참가자들이받은건진 짜 심사결과가 아니었다. 참 가자들은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히 만들어진 심사결과 를받았다.심사결과는총네 종류였다. 첫째, ‘당신은 7점 만점에 6 점입니다.’라고만 쓰인 심사 결과지를 받은 참가자들이 있다. 내가 객관적으로 잘했 다는 것만 제시하는 조건이 다. 둘째, ‘당신은 7점 만점 에 6점입니다. 그런데 당신 과 함께 온 사람은 7점을 받 았습니다’라는 결과지를 받 은 사람들이 있었다. 이것이 바로내가잘했지만,옆사람 은더잘한조건에해당한다. 셋째, ‘당신은 7점 만점에 2 점입니다’라고 쓰인 결과를 받은 사람들이 있었다. 내가 객관적으로 못했다는 것만 제시하는 조건이다. 마지막 넷째‘당신은7점만점에2점 인데,당신과함께온사람은 1점입니다’라는결과를받은 사람도있었다.이네번째가 바로내가못했지만,옆사람 은더못한조건에해당한다. 만약에 사람들이 자신의 성 취를 기준으로 자신의 능력 과 행복을 평가한다면, 7점 만점에6점을받은사람들은 능력을 좋게 평가하고, 행복 해질 것이다. 반대로 7점 만 점에 2점을 사람들은 능력 을 나쁘게 평가하고, 불행해 질 것이다. 손가락 인형극을 하기전에측정한행복이평 균보다높은사람들이딱그 렇게했다.나도잘했지만,다 른사람은나보다더잘했다 는정보와나도못했지만,다 른사람은나보다더못했다 는정보의효과가없었다. 그런데 손가락 인형극을 하 기전에측정한행복이평균 보다 낮은 집단은 아니었다. 이 사람들은 자신의 성취가 좋다는 정보만 제시될 때는 능력을 좋게 평가하고, 행복 해졌지만, 자신보다 더 잘한 사람이 있다고 하니까 능력 을 나쁘게 평가하고, 불행해 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촌이 땅을사니까배가아픈거다. 이게 전부가 아니에요. 행복 이평균보다낮은집단은자 신의 성취가 나쁘다는 정보 가제시될때는실력을나쁘 게 평가하고, 불행해졌지만, 자신보다더못한사람이있 다고 하니까 태도가 완전히 달라진다. 오히려 자신의 능 력을좋게평가할뿐아니라, 행복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타인의 불행이 고소한 거다. 평소비교를많이하는가?내 가잘했어도더잘한사람이 보이면못견디게싫으신가? 내가못했어도더못한사람 이있으면너무기분이좋으 신가?아마행복한사람은아 닐것이다.행복한사람은타 인의 성취와 비교하기보다 자기 자신의 성취를 바라보 니까말이다. 비교하지 않는 관점을 가지 는것,비교하지않는습관과 태도를가지는것이것이행 복한 삶의 출발점이다. 물론 이렇게 반문하실 수도 있다. ‘가만히 있어도 비교가 되는 걸 어떡합니까?’라고 말이 다.맞다.전혀비교하지않고 살수는없다.그렇다면,비교 하는대상을바꿔보는건어 떨까? 내 옆사람, 직장 동료, 아는 친구, 엄마 친구 딸과 비교 할 게 아니라, 내 롤모델과 나를 비교해보는 것이다. 내 롤모델의내나이때무엇을 했는지와 지금의 나를 비교 해보자. 또 어제의 나와 오 늘을 나를 비교해보자. 그리 고미래의이상적인나의모 습과지금의나의모습을비 교하고, 그 격차를 줄여나가 기위해무엇을해야하는지 생각해보자. 이렇게 나의 성 장,나의이상적인모습과비 교하는것이더좋은비교의 방법이다. PhotobyNicolasHoizeyonUnsplash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