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Weekly News
qldkoreanlife.com.au FRI. 5. AUGUST. 984 R 6 AUSTRALIA 호주뉴스 대중인지도낮은코로나치료제, 홍보미흡지적나와 비영어문화권주민은약존재사실모르기도 코로나-19항바이러스제에대 한홍보가충분히이뤄지지않 아일부감염자들이치료시기 를놓치고있다는문제가제기 됐다. 코로나-19항바이러스제는증 상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처방전이 있으면 약국 에서 구할 수 있어서, 과중한 업무 부담을 안고 있는 병원 의 짐을 덜어주는 부수 효과 도 있다. 다만, 감염 후5일 이 내에복용해야효과가있기때 문에충분한홍보와대중의인 지가중요하다. 보건부는 노령층에 코로 나-19에 감염됐을 때 신속하 게 처방전을 받을 수 있도록 의사와 상의하라고 권장한 다. 경구 알약의 경우, 복지혜 택카드 소지자(concession card holder)는 10달러 이하 로 약을 구매할 수 있다. 의약 품혜택제도(Pharmaceutical Benefits Scheme) 하에서는 45달러이하다. 하지만 비영어 문화권에 속 해 있는 일부 사람들은 약의 존재조차모르고있다는지적 이있다. 방송이나신문의광고들이영 어로 되어 있어서, 영어가 익 숙하지 않은 사람의 정보 접 근성이 떨어진다. 이는 특히 노령층이 잠재적으로 생명을 구할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는뜻이된다. 동화 박사(Dr Dong Hua) 는 해외 출생 인구가 60%이 상인 시드니 교외 페어필드 (Fairfield) 지역에서 호흡기 클리닉을운영하고있다. 그는 “솔직히 말해서 내 환자 들에게 항바이러스제에 대해 말하지않았다면아마도그들 은 그것을 몰랐을 것”이라고 SBS에말했다. 정부웹사이트뿐만아니라이 민자 교회, 이주민 단체, 지역 사회 단체 등을 통해 최신 보 건 정보를 전달해야 할 필요 가있다. 지난주 보건부는 항바이러스 제를 홍보하기 위한 TV 및 소 셜미디어광고캠페인을시작 했다. 제약회사들은 4월부터 코로 나-19항바이러스제를사용할 수있었음에도호주에서사용 이늦어지고있다고말했다. SBS에 따르면, 메디슨 오스 트레일리아(Medicines Aus- tralia)의 엘리자베스 드 소머 (Elizabeth de Somer) 최고 경영자는“이는항바이러스제 자체에대한인식과이해뿐만 아니라 사용 시기에 대한 기 본 정보와도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호주의학협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부회 장크리스모이박사(Dr Chris Moy)는협회는항바이러스에 대한지식이대중에게얼마나 널리 알려져 있는지 “우려하 고있다”고전했다. 모이 박사는 협회가 정부에 환자들이 가능한 한 빨리 약 을 처방받을 수 있도록 더 많 은노력을기울여달라고권유 했다고말했다. 보건당국이8월부터100만명이 상의 장애인 복지수혜자들과 그 들을 보살피는 보호자들(carers) 에게 4차 코로나 백신(2차 부스 터샷)접종과치료제처방을권장 하는텍스트메시지가전달된다. 보건부가시작한이캠페인은코 로나확진으로인한장애인과보 호자들의 중증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정부는 7 월초부터 코로나 감염자들을 대 상으로 의약품구매혜택(Phar- maceutical Benefits Scheme) 을 통해 치료제(antiviral treat- ments)를제공하고있다. 30세이상의장애인으로최소한 개 이상의 위험 요인을 가진 경 우,이혜택을받을수있다. 경구용치료제의주당처방이최 근3배급증했다. 빌 쇼튼 전국장애인보험제도 (NDIS) 장관과 아만다 리쉬워스 (Amanda Rishworth) 소셜서비 스 장관(Social Services Minis- ter)은 지난달 27일 캔버라에서 열린 장애개혁 장관 모임을 주 재했다. 리쉬워스 장관은 “장애 인커뮤니티의백신접종률이비 장애인보다낮은편이다.최근코 로나 감염 확산에서 사회적으로 뒤처지는그룹이없도록해야한 다”고강조했다. 장애인보호자, 코로나2차부스터샷접종촉구 보건부,경구용치료제처방확대 “백신접종률비장애인보다낮아..소외그룹없어야” 코어로직의 자료에 따르 면 호주의 주택가격이 지 난7월1.3%하락해3개월 연속 내림세를 기록한 것 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택 가격은팬데믹기간28.6% 가 상승하였지만, 지난 4 월정점을찍은후지금까 지는-2.0%를기록하고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국내8개 주도들 중5 곳의 주택가격이 하락하 였으며, 시드니와 멜버른 은 각각 -2.2%와 -1.5%를 기록해 가장 하락폭이 컸 던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 즈번 또한 2020년 8월 이 후처음으로-0.8%의월간 주택가격 하락을 기록하 였으며, 캔버라 (-1.1%)와 호바트 (-1.5%)도 집값이 내려간것으로나타났다. 지난달 퍼스(+0.2%)와 애 들레이드(+0.4%) 그리고 다아윈(+0.5)의 집값은 오 름세를 유지했지만, 지난 5월 이자율이 처음으로 오른이후그성장세는급 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코어로직의 Tim Lawless이사는 이자 율이 급격히 오르고 있어, 금년 남은 기간동안 주택 시장 환경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하 였다. 이자율이 상승하기 전에도 주택가격 성장세 는 둔화되고 있었지만, 지 난5월5일이자율이오른 후에는 분명하고 가파르 게 시장이 약세로 전환되 고 있다고 Mr Lawless는 말하였다. 비록 국내 주택시장이 단지 3개월 연속 하락하 고 있지만, 그 내림세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 때 와 1980년대 초 호주 주 택가격이 급격히 하락했 을 때와 비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속을 내 고 있는 시드니의 주택가 격하락세는거의40년만 에 처음인 것으로 나타났 다. 역대 최고 수준의 부 채로 대출이 있는 가구들 은 이자율 오름세에 매우 민감할수밖에없으며,우 려되는 수준의 인플레이 션 또한 주택가격 하락세 에불을붙이고있다고Mr Lawless는말하였다. 최근주택시장동향 (2022년7월) Disclaimer 상기 내용은 일반적인 부동산 관련 기사의 번역이나 관련 정보에 대한 안내문이며, 이에 대한 어떠한 법률적인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전주한의 부동산칼럼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